구속적부심사 청구서 작성 안내

구속적부심사 청구서는 피의자가 구속되었을 때, 그 구속의 적법성과 필요성을 법원에 다시 한번 심사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식적인 서류입니다. 피의자 본인뿐만 아니라 변호인, 배우자, 직계혈족, 형제자매, 호주, 가족, 동거인 또는 고용주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. 본 안내는 해당 청구서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됩니다.

구속적부심사 청구서 주요 내용

구속적부심사 청구서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포함됩니다.

  • 사건번호: 해당 형사 사건의 번호를 기재합니다. (아직 부여되지 않았다면 공란으로 두거나, 수사기관에 문의하여 확인 후 기재합니다.)
  • 피의자 정보:
    • 성명: 구속된 피의자의 이름을 정확하게 기재합니다.
    • 주민등록번호: 피의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합니다.
    • 주소: 피의자의 현재 주소를 정확하게 기재합니다.
    • 직업: 피의자의 직업을 기재합니다.
    • 연락처: 피의자 또는 가족, 변호인 등에게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를 기재합니다.
  • 청구인 정보:
    • 성명: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하는 사람의 이름을 기재합니다.
    • 피의자와의 관계: 청구인이 피의자와 어떤 관계인지 명확하게 기재합니다. (예: 본인, 변호인, 배우자 등)
    • 주소: 청구인의 주소를 기재합니다.
    • 연락처: 청구인의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를 기재합니다.
  • 구속영장 발부 법원 및 발부일자: 피의자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한 법원과 그 날짜를 정확하게 기재합니다. 이 정보는 구속영장에 명시되어 있습니다.
  • 구속된 죄명: 피의자가 구속된 혐의 사실 (죄명)을 기재합니다. 이 역시 구속영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• 청구 이유: 구속이 적법하지 않거나 그 필요성이 없다고 주장하는 구체적인 이유를 상세하게 작성합니다. 예를 들어, 도주 우려가 없거나 증거 인멸의 염려가 없는 경우, 범죄의 중대성이 낮거나 피의자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등을 기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첨부서류: 청구 이유를 뒷받침할 수 있는 관련 서류 (예: 진단서, 가족관계증명서, 재직증명서, 피의자의 진술서 등)가 있다면 목록을 작성하여 함께 제출합니다.
  • 작성 연월일: 청구서를 작성하는 날짜를 기재합니다.
  • 청구인 (날인 또는 서명): 청구인의 성명을 기재하고 날인 또는 서명합니다.
  • 제출처: 피의자가 구속되어 있는 관할 지방법원에 제출합니다.

구속적부심사 청구 시 유의사항

  • 정확한 정보 기재: 모든 항목에 대해 사실에 근거하여 정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.
  • 구체적인 청구 이유 작성: 단순히 '억울하다'는 주장보다는 구체적인 사실 관계와 법률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청구 이유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증빙 자료 첨부: 청구 이유를 뒷받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가 있다면 빠짐없이 첨부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제출 기한 확인: 구속적부심사 청구는 구속된 날로부터 일정한 기간 내에 해야 하므로, 기간을 확인하여 늦지 않게 제출해야 합니다.
  • 법률 전문가 상담: 구속적부심사 청구는 법률적인 판단이 필요한 중요한 절차이므로,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도움을 받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.

구속적부심사 청구서 양식 다운로드

구속적부심사 청구서의 정확한 양식은 대한민국 법원 전자민원센터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. 법원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해당 서식을 검색하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
서식 다운로드

👉 대한민국 법원 전자민원센터 바로가기

해당 홈페이지에서 '형사' 메뉴에서 '신청' 항목을 찾아 '구속적부심'으로 검색하시면 관련 서식을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.

주의: 본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, 법률 자문이나 공식적인 법률 서식으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. 실제 법률 서류 작성 시에는 반드시 관련 법규를 확인하고, 필요한 경우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.

댓글 쓰기

다음 이전